Gosanizm/일기장2008. 5. 27. 19:29

사용자 삽입 이미지


高山 (고산) : 높은 산에 올라야 더 멀리 더 크게 보듯이..큰 사내로 거듭
                   나기 위하여 끊임없이 인내하고 노력하여 정상에 서기를
                   바라는 마음에 號(호)를 짖는다.                        
                                                                                          -載益-






                                "우리민족의 이름짓기 문화 및 호짓기"

                                                                                                               -꿈꾸는 자의 이름. 호짓기


1. 이름이란?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잘 알려진 김춘수 님의 [꽃]이라는 시입니다.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존재’로 다가서기 위한 것이 이름입니다.
   나를 넘어 ‘관계’를 맺기 위한 것입니다.
  


2. 우리의  이름 짓기 문화
   사람이 삶을 누리기 시작하면서부터 불리기 시작했던 이름은 단순한 호칭의 수단이 아니라 명예와 인격성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그 형태는 국가나 민족, 그리고 배경이 되는 사회나 문화에 따라 복잡다양하며, 보통
   각기 다른 유래와 의미나 이유 등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토박이말로 지었던 우리의 이름이 한자의 유입과 함께
   한자 이름으로 지어지면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2-1. 참고로 토박이 이름 짓기의 유형을 살펴보면
   1) 출산 장소에 따른 것(부엌손, 마당쇠)
   2) 간지(干支)나 달 이름에 따른 것(갑돌이, 정월이)
   3) 성격에 따른 것(억척이, 납작이)
   4) 기원을 곁들인 것(딸고만이, 붙드리)
   5) 순서에 따른 것(삼돌이, 막내)
   6) 복을 비는 천한 것(개똥이, 돼지)
   7) 동식물, 어류 이름에 따른 것(강아지, 도미)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것이 동물
      이름입니다. 이름을 한자로 지을 경우의 성명 3자 가운데에서 선택권은 1자밖에 없지요.(외자이름도 있지만).
      항렬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남은 1자도 같은 항렬의 동명이인을 피해야 하고 가까운 조상의 이름에
      나오는 글자도 피했습니다.
  2-2. 일생 네다섯 개 이상의 이름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부를 때에는 실명을 삼가는 것이 세계적인 경향인데,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
   을 모독이라 생각하여 금기시 하는 풍습이 고대에서부터 이어져 왔기 때문입니다. 보통 조선시대에 이르러 정
   착된 사대부집안의 이름 짓기의 경우 일생에 걸쳐 네다섯 가지의 이름을 갖게 됩니다.
    ◆ ① 아명 (兒名 : 어린아이 때의 이름) : 아명은 보통 생존확률이 높지 않았던 옛날에 무병장수를 염원하며
                    천하게 짓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개똥이, 쇠똥이, 말똥이 등의 이름이 흔했지요. 이름을 너무 귀하
                    게 지으면 운명을 관장하는 하늘이 시기해 일찍 명을 앗아갈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서였을 것입니
                    다. 관명이 '희(熙)'였던 고종 황제의 아명이 개똥이었고, 황희(黃喜)의 아명은 도야지(都耶只)였음
                    이 그 사례입니다.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주논개(朱論介)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무남독녀인 논개
                    의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논개의 부모는 일부러 천한 이름인 논개(개를 낳았다)라고 했습니
                    다.  그런데 그는 특이하게도 갑술년(甲戌年, 1574년), 갑술월(甲戌月, 음력 9월), 갑술일(甲戌日),
                    갑술시(甲戌時, 오후 7∼9시 사이)의 4갑술(甲戌)의 사주를 지니고 태어났습니다. 여기서 술(戌)은
                    『개』를 상징하므로 사주(四柱)가 모두 개이기 때문에『개를 놓았다(‘낳았다’의 사투리)』는 뜻에
                    서 이두(吏讀)의 한음(漢音)을 따서 논개(論介)로 작명하였다고 전합니다. 아명이 그대로 관명으로
                     되어 한자로 '개동(介東), 계동(啓東), 소동(召東), 소동(蘇同), 마동(馬銅), 마동(馬東)'으로 되기
                    도 합니다. 또한 서민들은 아명으로 평생을 살기도 했습니다.

                                                                          .
                                                                          .
                                                                          .
                                                                          .
                                                                          .
                                                                          .
                                                               더 자세한 사항은 요리로..

               관련 블로그 http://blog.naver.com/minihyang?Redirect=Log&logNo=70014787359




고산(高山) 김재익
Posted by 고산(高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