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소 자신에 찬 위의 글은 존 네이피어(John Napier, 1550-1617)의 사후 1619년에 발표된 저작 ‘놀라운 로그법의 구성’(Mirifici logarithmorum canonis description)의 서문 첫머리이다. 자신이 발명한 로그표를 이용하면, 곱셈, 나눗셈, 제곱근 등을 덧셈, 뺄셈, 2로 나누기만을 통해 쉽게 계산할 수 있다고 선언한 것이다. 네이피어가 말하는 로그 가 무엇인지 설명하려 하는데, 이에 앞서 네이피어 이전 시대에는 과연 어떻게 계산을 했는지 살펴 보는 것이 순서일 것 같다.
삼각함수로 곱셈을 쉽게 하기
덧셈이나, 뺄셈 등의 연산은 비교적 계산이 쉬운 편에 속한다. 하지만 두 수를 곱하거나 나누는 것은 생각보다 계산이 많이 필요한데,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계산한 것일까? 그냥 곱했을까? 놀랍게도 아니다. 16 세기 후반에는 삼각함수를 이용한 방법이 풍미했다. 비티히(Paul Wittich, 1546-1586)와 클라비우스(Christopher Clavius, 1538-1612) 등이 개발한 것으로 알려진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삼각함수의 덧셈 정리를 이용한다.
두 식을 더한 뒤에 반으로 나누면 다음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식과 코사인 함수표를 이용하면 (실제로는 사인 함수표도 이용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사인을 사용한다), 곱셈을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57.36과, b=292.4를 곱하려면, 0.5736, 0.2924를 곱한 뒤, 10만을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1보다 작은 두 수의 곱만 알면 족하다. 편의상 양수만 생각하기로 하는데, 1보다 작은 수는 항상 어떤 수의 코사인 값이다. 실제로 삼각함수표를 뒤적여보면 다음과 같다.
위의 공식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다시 삼각함수표를 훑어보면, cos(128°) = -cos(52°) = -0.6157, cos(18°) = 0.9511이므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두 수를 직접 곱해보면 0.16772064이므로 오차가 있는데, 이는 0.5736과 0.2924가 cos(55°)와 cos(73°)의 참값이 아니라, 소수점 이하 네 자리까지만 구한 근삿값이기 때문이다. 더 정확한 삼각함수표를 쓴다면 당연히 계산값도 훨씬 정밀해지는데, 연습 삼아 몇 번만 계산해 보면 누구나 무릎을 치며 탄복할 계산법이다. 나눗셈의 경우 시컨트와 코시컨트 함수를 이용해서 계산했고, 제곱근은 삼각함수의 반각공식을 이용해서 비슷하게 계산할 수 있는데,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오늘날처럼 계산기가 발달한 세상에 사는 우리로서는 저렇게까지 하고 싶었을까 고개를 갸우뚱할 수도 있겠는데, 개구리가 올챙이적 생각을 못하는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더구나 십진 기수법이나 소수점 표기법마저도 정착되지 않았던 시절에 큰 수를 곱하는 것은 사실상 악몽이었다는 것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천문학적 숫자를 다뤄야만 했던 천문학자들에게는 이런 계산이 일상다반사였으므로 정밀한 삼각함수표는 필수였다.
네이피어의 로그
16세기 후반 최고의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Tycho Brahe, 1546-1601)는 삼각함수를 이용한 빠른 곱셈법에 능통했다. 브라헤는 덴마크로 가다가 날씨 때문에 자신의 천문대를 방문한 왕자(훗날 영국의 왕 제임스 1세가 된다)에게 이런 계산법을 시범 보였다고 한다. 당시 주치의로 동행했던 존 크레이그(John Craig, ??-1620)는 이 계산법을 절친한 친구 존 네이피어에게 보여준다. 이에 자극을 받은 네이피어는 20여 년간 연구를 거쳐 ‘로그’(logarithm)를 발견하고 1614년 ‘로그의 놀라운 규칙’(Mirifici logarithmorum canonis description)를 통해 발표한다. 로그의 규칙이 왜 놀랍다는 것인지 이제부터 살펴보겠는데, 현대적으로 각색하여 표현하기로 한다.
길이가 일정한 선분 AB와 무한반직선 CD가 있다고 하자. 네이피어는 선분 AB의 길이를 107이라고 했지만 우리는 편의상 1이라고 해보자. 이제, A, C에서 각각 점 P, Q가 동시에 속도 1로 출발하여 움직인다. 단 P의 속도는 PB 의 길이 a와 같도록 줄어들고, Q의 속도는 항상 1로 일정하다. 이렇게 운동할 때, PB 의 길이 a에 대해 CQ의 길이 x를 “a의 로그”라 정의한다.
|
|
|
|
- 로그(logarithm)
a가 1이 아닌 양수일 때 x=ay라면, y를 a를 밑으로 하는 x의 로그라고 하며, y=logax라고 쓴다. 로그는 네이피어가 창안한 것인데, 그는 지수와 무관하게 로그를 발견했다. 로그와 지수의 관련성의 발견은 후대의 일이다.
- 상용로그(common logarithm)
브리그스가 로그 발견자 네이피어의 조언을 구해 창안한 것으로 10을 밑으로 한 로그이다. 이를 이용하면 계산이 획기적으로 쉬워진다. 일반적으로 log x의 형태로 밑을 생략하고 쓴다.
'Gosan's Funfun > 학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민등록번호에 숨어있는 수학 이야기 (자가연수물) (0) | 2014.05.29 |
---|---|
연예인으로 보는 조선시대 왕 계보(쉽게보는법) (1) | 2014.05.22 |
김재익선생님께.. (2) | 2014.04.25 |
현일블루버드 용희쌤 생일 파티 (0) | 2013.09.02 |
현일블루버드 사회인 야구 첫승. (0) | 2013.06.08 |
[mathematics] 배수 판별법 (0) | 2009.04.12 |
[mathematics] 숫자의 상징체계 (0) | 2009.04.12 |
한국어듣기평가 (0) | 2009.02.17 |
[mathematics] 2009년 임용 기출 문제 (1) | 2008.12.30 |
[임용] 2009학년도 중등임용시험 모의평가 문제지(1,2차)와 가정답(1차) (0) | 2008.06.15 |